건강정보

미네랄이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이유와 주요 기능

greenlife1 2025. 9. 12. 07:00
반응형

미네랄이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이유와 주요 기능

미네랄은 뼈 건강, 면역력, 신경·근육 기능을 유지하는 필수 영양소입니다. 칼슘, 아연, 마그네슘 등 주요 미네랄의 역할과 부족·과잉 시 나타나는 증상을 확인하세요.

미네랄이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이유와 주요 기능
미네랄이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이유와 주요 기능

 

미네랄은 무엇인가

  • 미네랄(mineral, 무기영양소)은 비타민과 함께 미량영양소(micronutrient)에 속하며,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음식(또는 물, 보충제)을 통해 섭취해야 함. 
  • 미네랄은 체중의 소량(약 4~5%)을 차지하지만, 생명 유지와 신진대사, 효소 작용, 조직 구조 유지 등에 필수적임. 

미네랄의 주요 역할

기능관련 미네랄 내용
뼈와 치아 구성 칼슘(Ca), 인(P), 마그네슘(Mg) 뼈 조직과 치아의 구조를 형성함. 
효소 & 대사 조절 아연(Zn), 마그네슘(Mg), 구리(Cu) 등 수많은 효소의 보조 인자로 작용, 대사와 에너지 생산 촉진.
신경 / 근육 기능 나트륨(Na), 칼륨(K), 칼슘, 마그네슘 신경 전파, 근육 수축과 이완, 심장 박동 조절 등.
면역력 유지 / 항산화 작용 셀레늄(Se), 아연, 철 활성산소 제거, 면역 세포 기능 유지. 
체액 균형 및 산-염기 조절 나트륨, 칼륨, 염소(Cl) 삼투압 조절, 수분 균형 유지, 산도(pH) 조절. 
산소 운반 / 에너지 대사 철(Fe), 요오드(I) 등 철은 헤모글로빈의 주요 성분 → 산소 운반, 요오드는 갑상선 호르몬 생성 → 기초대사 조절. 

 

부족과 과잉의 위험

  • 미네랄 결핍 → 빈혈, 골다공증, 근육 경련, 면역력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음.
  • 미네랄 과잉 → 특정 미네랄은 과잉 시 독성 가능, 신장 부담, 체내 불균형 야기. 특히 나트륨 과다 섭취는 고혈압 위험 증가. 

 

한국인의 일일 권장 섭취량 예시

아래는 일반적인 성인의 경우 권장되는 미네랄 양입니다 (연령/성별/상태에 따라 다름). 


미네랄 성인 기준 권장 섭취량
칼슘 (Calcium) 1,000 mg/일
나트륨 (Sodium) 1,500 ~ 2,300 mg/일 이하 권장 
마그네슘 (Magnesium) 남성 약 420 mg, 여성 약 320 mg/일 
철분 (Iron) 남성 약 8 mg, 여성(가임기) 약 18 mg/일
아연 (Zinc) 남성 약 11 mg, 여성 약 8 mg/일 

 


 

📚 유용한 논문 / 학술자료

권장 섭취량 출판년도 주요 내용  요약링크
Minerals and Human Health: From Deficiency to Toxicity Razzaque, M.S. & Wimalawansa, S.J., 2025 미네랄의 역할(뼈, 신경, 면역 등), 결핍과 과잉의 건강 영향, 다양한 미세 및 거대 미네랄(macrominerals & trace minerals)의 기능 비교. MDPI MDPI 논문 MDPI
The Role of Minerals in the Optimal Functioning of the Immune System 최근 리뷰 논문 면역체계(선천·후천 면역)에 미네랄(마그네슘, 아연, 철, 셀레늄, 구리 등)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결핍 시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설명. PMC PMC 무료 원문 PMC
Overview of the Vital Roles of Macro Minerals in the Human Body — (ScienceDirect, 최신) 칼슘, 마그네슘, 인 등 거대미네랄(macrominerals)이 신체 대사, 뼈 구조 유지, 신경/근육 기능 조절 등에 관여하는 방식 상세. ScienceDirect ScienceDirect 소장 논문 ScienceDirect
Persistent Calcium Inadequacy in Korean Adults over 20 Years 한국 인구 대상 연구 한국 성인의 칼슘 섭취가 권장량보다 오래도록 부족했으며, 특히 여성/노인 계층에서 심각함. 골다공증 위험과도 연계됨. MDPI MDPI 논문 MDPI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8–2020 노인 영양 상태, 미네랄·비타민 결핍 실태 한국의 노인 인구에서 미네랄 등 미량영양소 결핍이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보충제(multi-vitamins/minerals supplements, MVMS)에 의해 개선 가능성 있음. PMC PMC 원문 PMC
The Importance of Mineral Elements for Humans, Domestic Animals... Soetan 등 인간 및 동물에서 미네랄이 어떤 생화학적(Biochemical) 기능을 하는지, 부족할 때 나타나는 병리와 건강 문제들을 리뷰함. academicjournals.org Academic Journals 자료 academicjournals.org

 

✅ 결론

미네랄은 단순한 영양소가 아니라, 우리 몸의 뼈 건강·면역력·에너지 대사·신경 기능까지 조율하는 필수 요소입니다. 칼슘, 아연, 마그네슘, 철분과 같은 미네랄은 부족하면 건강에 큰 문제가 생기고, 과잉 섭취 시에도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해 매일 적정량의 미네랄을 섭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특히 성장기 어린이, 임산부, 중장년층, 그리고 갱년기 이후의 성인들은 필수 미네랄을 놓치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합니다. 건강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올바른 영양 관리라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반응형